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27

내전이 시작된 사무엘하 2장 사무엘하 2장은 다윗이 유다 지파의 왕으로 등극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사울의 잔존 세력과 갈등이 시작되는 시점이기도 하며 왕이 되는 과정이 순탄치 않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1. 헤브론으로사울왕 일족이 죽고 다윗은 이런저런 상황을 마무리 지은 후 하나님께 이제 나는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기도로 묻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은 헤브론으로 가라고 합니다.이것은 마치 시즌2가 연상됩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가나안 땅으로 가라 했는데 이번에는 헤브론으로 가라고 한 것이 뭔가 반복적인 서사를 연상케 합니다. 1.1. 헤브론은 어떤 곳인가?헤브론은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도시입니다.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지구에 속하며 서안 지구 남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리적으로는 유대 .. 2025. 7. 25.
활의 노래 애가를 만들어 부른 다윗, 사무엘하 1장 사무엘하 1장은 다윗이 아말렉 청년으로부터 사울왕과 요나단의 죽음을 전해 들은 후, 자신이 죽였다고 거짓말한 청년을 즉시 처형하고 사울과 요나단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조가를 만든 내용입니다. 1. 사울이 죽은 후1. After the death of Saul, when David had returned from striking down the Amalekites, David remined two days in Ziklag. 2. And on the third day, behold, a man came from Saul's camp, with his clothes torn and dirt on his head. And when he came to David, he fell to the ground and p.. 2025. 7. 22.
사울의 비극적인 죽음을 다룬 사무엘상 31장 드디어 사무엘상도 31장을 끝으로 마무리를 짓게 됩니다. 마지막 장은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의 비극적인 죽음을 다룬 장입니다. 블레셋 전투에서 사울 아들들이 전사하며 사울 왕국의 몰락을 보여줍니다. 1. 블레셋 전투에서의 패배1. Now the Philistines fought against Israle. and the men of Israel fled before the Philistines and fell slain on Mount Gilboa. 2. And the Philistines overtook Saul and his sons, and the Philistines overtook Saul and his sons, and the Philistines struck down Jonathan and.. 2025. 7. 21.
시글락에서 겪은 비극과 다윗의 반응 사무엘상 30장 1. 시글락의 약탈시글락은 유다 왕국의 남쪽, 네게브 지역에 위치한 곳입니다. 유다 지파의 경계에 속하면서 에돔 족속의 지역과도 가까웠습니다. 이곳은 원래 시므온 지파에게 할당된 땅이었지만 사울 시대에는 블레셋 사람들의 통제 아래 있었습니다. 1~6절 내용은 다윗과 그의 용사들이 블레셋 사람들과 함께 이스라엘과의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멀리 떠난 사이 아말렉 사람들이 유다 남쪽과 그랄을 침략하여 시글락을 약탈합니다. 아말렉 사람들은 시글락에 불을 지르고 그곳에 남은 어린아이부터 모든 사람을 죽였습니다.다윗과 그의 용사들이 시글락으로 돌아오니 성읍은 불에 타 있고, 자신들의 아내와 자녀들이 모두 사로잡혀 간 것을 알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다윗과 함께 있던 백성들은 통곡하여 울었고 다윗도 깊은 슬픔에 잠깁니다.. 2025. 7. 20.
신비주의 사상 신지학에 관하여 신지학(神智學, Theosophy)은 19세기 후반 헬레나 블라바츠키(Helena Blavatsky)를 중심으로 설립된 신지학 협회에서 비롯된 밀교적이고 신비주의적인 사상 철학 체계입니다. 1. 신지학의 개념 정리신지학은 그리스어 'Theos'(신)와 'Sophia'(지혜)에서 유래한 말로, '신성한 지혜'를 의미합니다. 신지학은 모든 종교, 사상, 철학, 과학, 예술 등의 근본적인 하나의 보편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신지학은 보편적 형재애를 중시합니다. 인종, 성별, 계급, 피부색 등 모든 차별을 초월하여 인류의 보편적 형제애를 실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삼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종교, 철학, 과학을 비교 연구하여 모든 것의 기저에 깔린 공통된 진리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인간.. 2025. 7. 19.
하나님의 섭리를 보여주는 사무엘상 29장 사무엘상 29장은 다윗이 처한 상황 속에서 그 속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섭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입니다. 1. 블레셋과 이스라엘의 대치1. Now the Philistines had gathered all their forces at Aphek. And the Israelites were encamped by the spring that is in Jezreed. 2. As the lords of the Philistines were passing on by hundreds and by thousands, and David and his men were passing on in the rear with Achish,블레셋은 군대를 아벡에 모으고, 이스라엘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을 칩니다. 다윗과 .. 2025. 7. 18.
니콜라 테슬라가 숫자 3.6.9에 집착한 이유 니콜라 테슬라는 유독 숫자 3과 6 그리고 9에 집착을 보인 과학자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이것이 우주의 비밀을 푸는 패턴으로 인식했던 걸로 보이는데요. 단순한 미신을 넘어 어떤 믿음과 연결된 그의 숫자에 대한 강박에 관해 찾아봤습니다. 1. 테슬라의 숫자 3-6-9- 집착 배경테슬라는 3,6,9란 숫자가 우주의 기본적인 패턴과 에너지의 흐름을 나타낸다고 믿었습니다. 3의 배수, 그리고 9라는 숫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이는 원(circle)의 특성과도 연관 지어 생각한 것 같은데요. 원은 360도이고 3+6+0=9가 됩니다. 180도는 1+8+0=9가 되고 90도는 9+0=9로 360의 배수들은 모두 9로 귀결됩니다. 그는 이러한 수학적 패턴이 우주의 숨겨진 질서를 드러낸다고 확신했던 것으로 보.. 2025. 7. 18.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 리뷰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는 1775년에서 1793년까지 런던과 파리를 배경으로 쓴 작품입니다. 런던과 파리를 배경으로 프랑스혁명이라는 시대의 물결 속에서 개인의 삶과 희생 그리고 기억과 구원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그린 소설입니다. 1. 인상적인 첫 문장최고의 시대이면서 최악의 시대였다.현명한 시기이면서 어리석은 시기였다.믿음이 뿌리내린 시간이면서 불신이 만연한 시간이었다. 광명의 시절이면서 암흑의 시절이었다. 희망을 품은 봄이면서 절망에 눌린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모든 것이 펼쳐져 있으면서 아무것도 없었고, 우리는 천국으로 직행하고 있으면서도 곧장 지옥으로도 향하고 있었다. 결국 그 시대는 지금과 무척 비슷해서, 당시를 잘 안다고 목청을 높이는 전문가들은, 선과 악처럼 극단적인 대조를 통해서만 시.. 2025.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