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41 지식과 지혜로 문을 연 여성들 그리고 모순의 역설 군로드와 이브의 이야기는 지식과 지혜가 어떻게 인류에게 전해졌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화적 설명이다. 두 여성 모두 지식의 문을 여는 열쇠를 쥐고 있었다. 군로드와 이브 이야기 군로드는 시의 꿀술을 지키는 문지기로서, 오딘이 그것을 얻기 위해 반드시 통과해야 할 관문이었다. 이브는 금지된 지식의 첫 번째 수용자로서, 인류가 도덕적 자각을 얻는 문을 열었다. 여기서 우리는 지식 전달의 역설적 구조를 발견한다. 지식은 금지되고(선악과), 숨겨지며(동굴 속 꿀술), 한정된 존재들만 접근할 수 있는(신, 거인)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지식이 실제로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달되고 공유되어야 한다. 이 지점에서 여성 인물들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신화들이 보여주는 가장 흥미로운 모순은 바로 이것이다: .. 2025. 4. 10. 고대 히브리 문학의 정수로 평가받는 사사기 5장 사사기 5장은 히브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시 중 하나입니다. 학자들은 이 시가 기원전 12~15세기의 고대 히브리 신 문체를 그대로 보존한 텍스트라고 평합니다. 고대 근동 문학의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거죠. 드보라와 바락의 찬양 1. Then sang Deborah and Barak the son of Abinoam on that day:2. "That the leaders took the lead in Israel, that the people offered themselves willingly, bless the Lord!3."Hear, O kings; give ear, O princes; to the Lord I will sing; I will make melody to the Lord, the Go.. 2025. 4. 10. 길이 끊긴 시대 훈풍으로 반전이 오길 성경 사사기 5장 6절부터 11절은 혼란과 무정부 상태를 고스란히 반영합니다. 당대 여성 지도자 드보라의 등장 이전 절망적 시대 상황을 묘사한 것이 현대 정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 옮겨 보았습니다. 사사기 5장 6절~11절6. 아나앗의 아들 삼갈의 때, 야엘의 때에 대로가 비었고 길에 행인들이 오솔길로 다녔도다.7 이스라엘의 지배자들이 그쳤고, 그쳤더니 내가 드보라가 일어나 이스라엘의 어미가 되었도다.8 무리가 새 신들을 택하였으므로 전쟁이 성문에 이르렀으나 이스라엘의 사십천 중 방패와 창이 보였던가.9 내 마음이 이스라엘의 방백들을 사모함이여, 그들이 백성 중에서 자원하였으니 여호와를 찬송하라10 흰 나귀를 탄 자들아, 재판하는 자 들아, 길에 앉는 자 들아, 말하라11 활 쏘는 자.. 2025. 4. 10. 성경에서 가장 잔인한 살인 이야기, 사사기 4장 사사기 4장은 선지자 드보라와 장군 바락이 하나님의 명령으로 가나안의 시스라 군대를 무찌르고, 도망친 시스라가 헤벨의 아내 야엘에게 죽는 이야기입니다. 에훗이 죽은 뒤1. And the people of Israel again did what was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after Ehud died. 2 And the Lord sold them into the hand of Jabin king of Canaan, who reigned in Hazor. The commander of his army was Sisera, who lived in Harosheth-hagoyin. 3 Then the people of Israel cried out to the Lord for .. 2025. 4. 9. 닫힌 문과 왼손의 칼, 사사기 3장 사사기 3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서 살아가며 겪는 반복적인 죄 그리고 징벌과 구원의 사이클을 본격적으로 보여주는 장입니다. 신학적 언어로 덮어 씌운 정치적 패배1. Now these are the nations that the Lord left, to test Israel by them, that is, all in Israel who had not experienced all the wars in Canaan. 2 It was only in order that the generations of the people of Israel might know war, to teach war to those who had not known it before. 3 These are the nations: .. 2025. 4. 8. 하나님의 개입 방식 전환 사사기 2장 지도자가 없는 시대에 가나안에 정주한 이스라엘인은 바알을 섬기게 되고 천사가 와서 경고했지만 아랑곳 않는 것 같습니다. 결국, 신은 더는 개입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은 침묵의 심판인지 방관인지, 모세의 먹버인지 알 길이 막막합니다. 사자의 경고1.Now the angel of the Lord went up from Gilgal to Bochim. And he said, "I brought you up from Egypt and brought you into the land that I swore to give to your fathers. I said, 'I will never break my covenant with you, 2 and you shall make no covenant with t.. 2025. 4. 7. 성경 속 바알을 섬긴 이유 모세의 입을 통해 하나님이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 살게 해주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여호수아 시대에 가나안 땅에 입성하였고 이들은 땅을 배분받아 정착하게 살게 됩니다. 하지만 젖과 꿀은 농경이나 정착에 적합한 산물이 아니었습니다. 바알을 섬긴 이유 이스라엘이 바알을 섬겼다는 말을 들을 때면, 우린 으레 그것을 단순한 우상 숭배의 타락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그러나 바알은 단지 '신'이 아니었습니다. 바알은 가나안 땅에 오래전부터 깊게 뿌리내린 생존의 체계이자, 자연을 지배하는 질서의 상징이었습니다. 바알은 비를 내리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여신 아스다롯과 함께 다산과 생산을 관장하는 농경사회의 총합적 시스템이었습니다. 즉, 그는 단순한 돌조각이 아니라, 삶 그 자체를 설명하는 방식이었습.. 2025. 4. 7. 가나안 정복 실패와 타협 그리고 타락 전초, 사사기 1장(22절~) 사사기 1장은 여호수아가 죽은 후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과정과 결과적으로는 가나안을 완전히 정복하지 못하고 부분적인 승리와 실패 결국에는 타협과 타락에 이르는 전초전을 보여줍니다.루스 사건 요약22 The house of Joseph also went up against Bethel, and the Lord was with them. 23 And the house of Joseph scouted out Bethel. (Now the name of the city was formerly Luz.) 24 And the spies saw a man coming out of the city, and they said to him, "Please show us the way into the cit.. 2025. 4. 6. 이전 1 2 3 4 5 6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