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27

위대한 작가 코맥 맥카시의 일생 코맥 맥카시(Cormac McCarthy, 1933–2023)는 1933년 7월 20일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찰스 조지프 맥카시 주니어였으나 훗날 아일랜드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코맥’이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가족은 가톨릭 신앙이 강했고, 어린 시절 그는 테네시 주 녹스빌로 이주해 남부적 문화와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이는 그의 작품 세계가 지닌 특유의 남부 고딕적 색채에 결정적인 토양을 제공했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로 일했고,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한 중산층 가정이었다. 어린 시절 그는 다섯 남매 가운데 네 번째로 태어나 큰 가족의 일원으로 자랐다. 집안은 물질적으로 궁핍하지 않았지만,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가톨릭 윤리관 속에서 성장했다. 이후 가족이 테네시 주 녹스.. 2025. 9. 15.
죽음이 의식의 이동인 근거를 찾아서 누군가 죽음은 끝이 아닌 의식의 이동이라고 한 말에 공감한다. 죽으면 영혼은 어딘가로 가게 되어 있다. 그의 신의 곁이든 환생을 위한 여행이든 육신과 영혼은 분리될 수밖에 없다. 1. 의식의 흔적은 정보의 파장인간의 뇌는 수십억개 뉴런이 전기적.자기적 파동을 주고받으며 작동한다. 죽음은 하드웨어의 기능 종료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했던 파동적 패턴은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환경에 잔향처럼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는 기억이 다른 차원에 기록되어 지속된다는 사상과 맞닿는다. 2. 망각과 적응의식이 다른 세계로 이동할 때 기존 기억은 완전히 가져가기 어렵고 필요한 만큼만 압축 및 변형되어 넘어가는 것일 수 있다. 환생사상에서 기억은 잊되 성향은 남는것과 일치하는 점이다. 즉, 인간은 죽음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 2025. 9. 14.
언약궤를 다시 모셔오다 사무엘하 6장 1. 언약궤를 옮길 준비다윗은 약 삼만 명을 모이게 하였다. 그는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기 위해 새 수레를 준비하고 아비나답의 아들들이 이를 몰게 했습니다.언약궤를 이들이 몰게 한 이유는, 블레셋 땅에서 돌아온 후 기럇여아림의 아비나답 집에 장기간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무엘상 7장 내용을 참조하시고요. 명백한 권력 이동임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1.David again gathered all the chosen men of Israel, thirty thousand. 2. And David arose and went with all the people who were with him from Baal-judah to bring up from there the ark of God, whic.. 2025. 9. 11.
소설 창작의 모든 것 1. 문학의 정의인간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를 이용하여 허구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문학은 구비문학에서 문자문학으로 발전하였다. 서사문학이 되기 위한 조건은 이야기와 화자, 서사문학은 이야기와 이야기하는 사람이 내포되어 있는 양식이다. 이야기는 내용을, 이야기하는 사람, 스토리텔러, 내레이터 형식을 이룬다. 이야기의 성립 요건은 소통이 되어야 한다.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소통되는 스토리가 있어야 하며 하나 이상의 사건이 필요하다.스토리는 서술하기 위한 원재료이다.서사문학이란 스토리를 서술자가 서술하는 과정이 글과 같은 매체로 옮겨진 것이다. 2. 서사문학의 성격1인칭과 3인칭 형식이 있다. 내용과 형식을 나눌 수 있다. 시간의 예술이다. 소설은 서정시와 드라마 양쪽의 특성을 다 소화 가능하다. 소설은 현.. 2025. 9. 10.
세계 최초의 신화들 세계 최초의 신화는 인류가 고대부터 자신들의 기원, 자연현상,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들이다. 이러한 신화는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후에 문자로 기록되었다. 1. 수메르 신화길가메시 서사시 (Epic of Gilgamesh):내용: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와 그의 친구 엔키두의 모험, 불사의 비밀을 찾기 위한 여정을 다룬다. 이 서사시는 대홍수 이야기, 우정, 죽음과 불멸 등의 주제를 포함한다.특징: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서사시 중 하나로, 많은 현대 문학과 비교 신화학의 기초가 된다. 2. 바빌로니아 신화에누마 엘리쉬 (Enuma Elish):내용: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로, 혼돈의 물인 아프수와 티아마트에서 신들이 태어나고, 마르둑 신이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상을 창조하는 이야기를.. 2025. 9. 8.
죽음과 새가 연결된 사례 보기 고대부터 새는 죽음과 아주 밀접합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죽으면 새가 된다고도 하고 어떤 나라에서는 새는 죽음의 전령사라고도 합니다. 죽음과 새가 연결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장례식이나 유골을 뿌릴 때 새가 나타나는 이유고대 인디언 전통 중에는 사람이 죽은 후 독수시가 시신을 물어가면 그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다고 믿었습니다. 실제로 가족이 유골을 뿌리는 순간 독수리 한 마리가 나타나 유골을 물고 날아갔다는 사례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밖에 까마귀가 유골을 지킨 이야기도 있습니다. 유럽에는 까마귀가 죽은 자의 영혼을 인도하는 존재로 여겼습니다. 장례식장에서 특별한 새, 하얗거나 까맣거나 크거나 등의 범상치 않은 새가 주변을 맴돈 사례는 적지 않게 발견되곤 합니다. 2. 한밤중에 새가 사라지는 현상.. 2025. 8. 24.
시지프스 신화의 행적 및 응용 모티브 작품들 시지프스(Sisyphu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신들을 속이고 기만한 죄로 영원히 무거운 바위를 산 정상까지 굴려 올리는 형벌을 받은 코린토스의 왕입니다. 그의 이야기는 무의미한 노동과 인간의 실존에 대한 깊은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시지프스 신화의 행적신화 속 시지프스는 간교하고 지혜로운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지혜를 활용하여 신들과 죽음을 속여왔다.시지프스는 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쇠사슬로 묶어 지하 세계로 보내 한동안 지상에 아무도 죽지 않는 기이한 상황을 만들기도 했다. 이 때문에 분노한 신들은 전쟁이 신 아레스에게 타나토스를 구출하도록 명령하여 타나토스는 시지프스를 데려가가 된다. 또한, 시지프스는 죽기 전 아내에게 자신의 시신을 매장하지 말라고 미리 부탁했다... 2025. 8. 23.
이스라엘 왕이 된 다윗편 사무엘하 5장 사무엘하 5장은 다윗이 마침내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통치 기반을 확립하고,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이스라엘 왕이 된 다윗유다 지파의 왕이던 다윗에게 이스라엘 지파 모든 장로들이 찾아와 그를 왕으로 추대합니다. 이들은 다윗이 이스라엘의 한 육친이며 사울 왕 때도 이스라엘을 이끈 실질적 지도자였음을 인정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다윗더러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어 이스라엘의 주권자가 되리라고 말하셨다고 언급합니다. 그리하여 다윗은 헤브론에서 이스라엘 장로들과 언약을 맺고 기름 부 음을 받아 통일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사무엘로부터 기름부음을 받았고 두 번째는 유다 장로들이 세 번째는 이스라엘 전 장로들이 기름을 부어 주며 통일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1. T.. 2025.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