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ter book/성경 자의적 해석142 인생을 바꾼 라합의 붉은끈 여호수아 2장 후편 여호수아 2장은 기생 라합의 도움을 받아 승리를 이끌었기에 하나님을 믿으면 구원의 길이라고 교훈을 주는 것 같지만요. 보다 단순하게 표현하면 하나님 편을 들면 민족을 배반해도 된다가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하나님을 인정하면 누구든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거죠. 이게 요즘 세상에는 통하기나 할까 싶습니다. 하지만 한 번의 선택이 순간의 선택을 좌우한다는 완전 공감입니다. 탈출을 돕다15. Then she let them down by a rope through the window, for her house was built into the city wall, so that she lived in the wall. 16 And she said to them, "Go into the hills, or.. 2025. 3. 17. 배신과 생존 그리고 신앙의 선택, 라합이 정탐꾼을 도와준 이유 여호수아 2장에는 여호수아가 후계자가 된 후 여리고에 정탐꾼을 보냈고, 그 와중에 기생 라합의 도움을 받는 에피소드가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시각으로는 믿음의 여인으로 추앙받았지만 여리고 입장에서는 배신자로 낙인찍혔는데요. 어찌들 생각하시나요?정탐꾼들의 파견1. And Joshua the son of Nun sent two men secretly from Shittim as spies, saying, "Go view the land, especially Jericho." And they went and came into the house of a prostitute whose name was Rahab and lodged there. 2 And it was told to the king of Jericho.. 2025. 3. 17. 모세의 뒤를 이어 전쟁에 박차를 가하는 후계자 여호수아 1장 구약 여호수아(Joshua)는 모세의 뒤를 이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땅을 정복하는 과정과 그 땅의 분배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은 총 2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은 가나안 정복 준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약속1. After the death of Moses the servant of the Lord, the Lord said to Joshua the son of Nun, Moses' assistant, 2 "Moses my servant is dead. Now therefore arise, go over this Jordan, you and all this people, into the land that I am giving to t.. 2025. 3. 16. 종교를 이용해 정치력 제대로 발휘한 모세의 큰 그림 구약 성경을 읽어 나가다 보면 지속해서 의구심이 듭니다. 아브라함 이후 모세로 이어지면서 뭔가 계획적이고 전략적이란 냄새를 지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집트 왕자로 자라서 이집트 탈출을 이끌며 이스라엘 백성을 데리고 가나안을 정복하겠다고 하는 과정 속에 치열한 암투와 모략이 작용했던 것 같습니다. 모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기독교인이 아니어도 모세 하면 홍해를 가르고 백성을 이끌고, 마치 신의 어명을 받고 중재하고 지도하는 출중한 리더로 보입니다. 리더십이 뛰어나다는 점에서는 백 프로 인정입니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 보면 그냥 평범하게 태어나 이집트 왕자로 길러지면서 난데없이 같은 혈통의 남자를 위해 살인을 하고 미디안으로 도망쳐 살게 되고, 거기서 일가를 이루다 하나님 계시를 받고 십계명을 받아 오고,.. 2025. 3. 15. 신앙을 통해 권력을 확보한 레위 지파의 흥망성쇠 스토리 구약 성경을 읽으면서 점점 더 미궁에 빠지는 점이 있습니다. 언제부턴가 레위 지파는 모든 권력의 중심에 있는 것 같아서입니다. 뭔가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 것이 아닌가 싶어서인데요. 왜 하나님께 특별한 선택을 받았는지 정말로 그런 대접을 받을만했는지 한번 찾아봤습니다. 레위 지파가 제사장 직을 맡게 된 배경레위 지파는 이집트 탈출 이후 특별한 역할을 맡게 됩니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받고 있을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사이를 못 참고 금송아지를 만들어 우상 숭배를 하였습니다. 출애굽기 32장을 보면, 이때 산에서 내려온 모세가 대노하여 여호와의 편에 설 자는 내게로 오라고 외쳤을 때 레위 지파만이 응답하였습니다. 그리고는 우상 숭배자들을 처단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것도 수상합니다. .. 2025. 3. 10. 예수도 비판한 십일조의 기원과 무용함에 관하여 십일조(tithe)는 소득의 10%를 하나님께 바치는 제도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돈으로 땅을 소유하지 않은 레위지파와 약자에 속하는 고아나 과부 그리고 이방인에게 나눠 주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 및 경제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였습니다. 십일조의 기원최초의 십일조는 창세기 14장 18절에 등장합니다.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바친 십일조에서 비롯되었는데요. 당시 아브라함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전리품의 10%를 살렘 왕이자 제사장이었던 멜기세덱에게 준 것이 시초입니다. 또한, 창세기 28장 20절 이후에도 십일조 얘기가 등장합니다. 야곱이 하나님께 내가 가는 길에서 나를 지켜주시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주시면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바치겠다고 서약하였습니다. 즉, 십일조가 신.. 2025. 3. 9. 방랑하는 아람 사람의 정체와 언어에 관하여 신명기 26장 5절에는 Aramean 아라미안에 관해 나옵니다. 이는 야곱 즉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등장합니다. 내 조상은 방랑하는 아람 사람이었습니다,라고 말하죠. 방랑하는 아람 사람이 맞는가?성경에 등장하는 아람인은 야곱을 가리킵니다. 야곱이 형을 피해 밧단아람 즉 메소포타미아 지역이며 지금의 시리아와 터키 남부 지역으로 가서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산 적이 있습니다. 거의 20년 넘게 그곳에서 일가를 이루며 지냈는데 그 때문에 야곱을 방랑하는 아람 사람이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아람인은 기원전 1200년경부터 중동에서 활동한 셈족 민족입니다. 그러니까 아람 사람들은 메소포타미아 북서부 지역과 오늘날 시리아, 이라크 일부 그리고 터키 남부 지역에 살던 민족입니다. 이들은 유목 생활을 .. 2025. 3. 9. 영혼이 빠져나가는 브라흐마의 구멍에 관하여 브라흐마의 구멍은 육신의 영혼이 빠져나가는 구멍으로 머리 정수리에 있는 두개골 봉합선을 의미합니다. 이곳은 두 개의 머리뼈가 만나는 곳으로 천문 혹은 백회혈이라고도 하고 인도에서는 브라흐마의 구멍이라고 합니다. 브라흐마의 구멍천문은 해부학적 용어이며 백회혈은 한의학이나 경락 용어입니다. 그리고 브라흐마의 구멍은 인도에서 영정 개념어로 불리는데요. 산스크리트어로 브라흐마는 창조의 신 또는 절대자를 지칭합니다. 브라흐마의 구멍은 정수리의 문을 의미하며 생명과 의식의 근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신비로운 출구로 알려졌습니다. 위치와 의미인도에서는 브라흐마의 구멍을 통해 영혼이 빠져나가면 환생할 일 없이 윤회의 굴레에 벗어나 완전한 자유를 얻는다고 합니다. 일부 힌두교에서는 이곳으로 영혼이 빠져나가야 해탈한다.. 2025. 2. 27. 이전 1 2 3 4 5 6 7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