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폰서 링크
1. 언약궤, 실로에서 기럇여아림으로 옮겨진 이유
블레셋 인들로부터 되찾은 언약궤는 본래 있던 실로가 아닌 기럇여아림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실로가 망한 지역이기도 하지만, 명백한 권력이동을 보여줍니다. 에브라임 지파 중심지이던 실로에서 유다 지파가 소속된 기럇여아림으로 옮긴 것이 예삿일은 아니니까요.
1. And the men of Kiriath-jearim came and took up the ark of the Lord and brought it to the house of Abinadab on the hill. And they consecrated his son Eleazar to have charge of the ark of the Lord. 2 From the day that the ark was lodged at Kiriath-jearim, a long time passed, some twenty years, and all the house of Israel lamented after the Lord.
엘리 가문과 실로가 타락했고 하나님의 심판이 이어졌으니 명분이 없던 것이겠죠. 그러면서 유다 지파를 중심으로 한 신정 통치 체계가 태동하는 서사를 보여줍니다. 문득 기럇여아림은 어떤 곳인지 찾아보았습니다.
기럇여아림이란?
예루살렘에서 서쪽으로 약 13킬로미터, 유다 지파 땅과 베냐민 지파 경계 부근에 있는 곳입니다. 이곳은 고대 교통로와 군사 요충지인 베들레헴-벧세메스-예루살렘을 잇는 고지대에 위치한 곳입니다. 이곳은 숲이 많고 지형이 험준한 고지형이며 실제 기럇 여아림은 숲의 성읍이라는 의미를 지녔다고 합니다.
📢 스폰서 링크
2. 베콜 레바브켐
진심으로 돌아오다는 히브리어로 베콜 레바브켐이라고 합니다. 마음 전체를 다해, 전심으로, 그런 의미입니다. 전심으로 기뻐하라,라는 찬송가 구절이 떠오르는데요. 3절에 그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전심으로 돌아와 예배적 헌신을 강요하는 구절 같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다시 정신줄을 챙기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제거하고 여호와만 섬겼다고 하는데요. 그게 또 얼마나 갔겠습니까.
3 And Samuel said to all the house of Israel, "If you are returning to the Lord with all your heart, then put away the foreign gods and the Ashtaroth from among you and direct your heart to the Lord and serve him only and he will deliver you out of the hand of the Philistines." 4 So the people of Israel put away the Baals and the Ashtaroth, and they served the Lord only.
3. 미스바로 예배 장소도 바꿈
권력이 이동하고, 새로운 리더가 나타나면 으레 이름도 바꾸고 장소도 바꾸고 그러듯이 에브라임 지파 주도의 실로에서 지내던 예배를 미스바로 옮깁니다. 엘리 제사장 가문이 이끈 전통적 제사 장소에서 붕괴되며 버림받은 성소가 되어 버린 겁니다.
그런데 인상적 이게도 미스바로 옮긴 뒤로는 언약궤는 개인이 따로 보관합니다.
제사 중심에서 회개 중심의 공동체 시작
이것은 기존 제사 혹은 의례 중심에서 회개 중심의 공동체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미스바에서는 새로운 예배 형식이 도입되는데요. 물 붓기나 금식, 회개, 기도, 번제 중심으로 뭔가 의식을 제대로 하는 듯합니다. 야곱과 라반의 화합 기념으로 돌을 쌓았던 장소에서 새롭게 의례라 시작되는 것 같네요. 야곱과 라반의 화합 이외도 사사기 20장에서는 베냐민 전쟁 회의 소집지로 이곳에 모였었죠. 장소에 의미를 둔다는 것은 참으로 무서운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게 의미가 깃든 장소는 아름다우면서 위험합니다. 기억의 성소인 동시에 망각의 감옥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5. Then Samuel said, "Gather all Israel at Mizpah, and I will pray to the Lord for you." 6 So they gathered at Mizpah and drew water and poured it out before the Lord adn fated on that day and said there, "We have sinned against the Lord." And Samuel judged the people of Israel at Mizpah. 7 Now when the Philistines heard that the people of Israel had gathered at Mizpah, the lords of the Philistines went up against Israel. And when the people of Israel heard of it, they were afraid of the Philistines. 8 And the people of Israel said to Samuel, "Do not cease to cry out to the Lord our God for us, that he my save us from the hand of the Philistines." 9. So Samuel took a offering to the Lord. And Samuel cried out to the Lord for Israel, and the Lord answered him. 10 As Samuel was offering up the burnt offering, the Philistines drew near to attack Israel, But the Lord thundered with a mighty sound that day against the Philistines and threw them into confusion, and they were routed before Israel. 11 And the men of Israel went out from Mizpah and pursued the Philistines and struck them, as far as below Beth-car.
📢 스폰서 링크
4. 에벤에셀
사무엘은 그곳에 돌을 세우고 에벤에셀이라고 명명합니다. 이 역시 반복되는 구조로 창세기 28장에서 야곱이 돌 기념비를 세우며 그곳 이름을 베델이라 정한 적이 있죠. 그런데 성경적 오류인가 싶기도 한 것이 사무엘이 처음 이름을 지은 것 같지만 사무엘상 4장 1절에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을 쳤다고 란 구절이 나옵니다. 뒤늦게 장소 의미가 부여된 것이 의아합니다.
12. Then Samuel took a stone and set it up between Mizpah and Shen and called its name Ebenezer, for he said, "Till now the Lord has helped us." 13 So the Philistines were subdued and did not again enter the territory of Israel. And the hand of the Lord was against the Philistines all the days of Samuel. 14 The cities that the Philistines had taken from Israel were restored to Israel, from Ekron to Gath, and Israel delivered their terriory from the hand of the Philistines. There was peace also between Israel and the Amorites.
에벤에셀의 정확한 뜻
에벤에셀은 야훼께서 여기까지 우리를 도우셨다, 즉 하나님의 도움이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일종의 은혜의 돌이라고 봐야 할 것 같네요.
5. 평생 이스라엘을 심판한 사무엘
사무엘은 왕은 아니었지만 평생 이스라엘을 심판하러 다녔습니다. 지도 교정 계몽의 의미가 강하게 느껴지는데요. 왕정 이전 시대 가장 이상적인 통치자의 형태라고는 합니다. 그런데 저는 왜 자꾸 그가 퇴마사 같다는 생각이 드는 걸까요? 실제 백성들이 모이고 물을 붓고 금식하며 죄를 자복하고 사무엘은 중보 기도를 합니다. 뭔가 민족의 영적 오염을 제거하고 공동체를 새롭게 하는 의식을 행한다는 생각이 드는 거죠.
15 Samuel judged Israel all the days of his life. 16 And he went on a circuit year by year to Bethel, Gilgal, and Mizpah. And he judged Israel in all these places. 17 Then he would return to Ramah, for his home was there, and there also he judged Israel. And he built there an altar to the Lord.
📢 스폰서 링크
권력 이동과 정화 과정
언약궤를 되찾아 오면서 사무엘은 본격적인 통치의 시작을 알리는 것 같습니다. 미스바에서 돌을 세워 에벤에셀로 짓고 예배를 드리고 평생 이스라엘 백성을 심판하러 다니며 일종의 군기 반장 역할을 한 것 같기도 한데요. 8장은 또 어떤 일이 펼쳐질지 아주 흥미진진합니다. 하나로 정리하자면 그곳에는 궤도 없었고 왕도 없었고 성전도 없었지만 하나님은 그들과 함께 계셨다입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사무엘상 6장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 스폰서 링크
'win.ter book > 성경 자의적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약궤의 귀환 뿌리깊은 선민의식 보여주는 사무엘상 6장 (0) | 2025.05.16 |
---|---|
언약궤를 훔친 민족의 최후 사무엘상 5장 (0) | 2025.05.13 |
언약궤를 상실한 이스라엘인의 충격이 담긴 사무엘상 4장 (1) | 2025.05.09 |
낡은 질서에서 새로운 질서로 사무엘상 3장 (0) | 2025.05.08 |
야곱의 혼 네페쉬에 관하여 (0)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