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폰서 링크
1. 신정에서 왕정으로: 이스라엘 정치사의 전환점
사무엘이 늙자 아들 요엘과 아비야를 이스라엘의 사사로 삼게 됩니다. 하지만 이 아들들은 뇌물을 탐하고 정직하지 못했습니다.
1.When Samuel became old, he made his sons judges over Israel. 2. The name of his firstborn son was Joel, and the name his second, Abijah; they were judges in Beersheba. 3 Yet his sons did not walk in his ways but turned aside after gain. They took bribes and perverted justice.
📢 스폰서 링크
2. '고이임(goyim)'의 의미
당연히 이스라엘 백성들의 불만은 높았고 라마에 있는 사무엘에게 모여 요청합니다. 그들이 말하는 것은 당신은 늙었고 아들들은 당신 길을 따르지 않으니, 다른 나라들처럼 우리를 다스릴 왕을 세워달라고 합니다.
4. Then all the elders of Israel gathered together and came to Samuel at Ramah 5 and said to him, "Behold, you are old and your sons do not walk in your ways. Now appoint for us a king to judge us like all the nations."
사무엘 입장에서도 아들들이 그모냥이니 대항을 못하고 하나님께 기도를 드린 것 같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이 대답합니다. 사무엘은 저들이 자신을 버렸다고 하지만 하나님은 너가 아닌 나를 버린 거다, 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저들의 요구이니 그리 하게 허락하라고 합니다. 영어 성경으로는 단순 nations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히브리어로는 goyim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열방국, 이방민족을 의미합니다.
6 BUt the thing displeased Samuel when they said, "Give us a king to judge us."And Samuel prayed to the Lord. 7 And the LORD said to Samuel, "Obey the voice of the people in all that they say to you, for they have not rejected me from being king over them. 8 According to all the deeds that they have done, from the day I brought them up our Egypt even to this day, forsaking me and serving other gods, so they are also doing to you. 9 Now then, obey their voice; only you shall solemnly want them and show them the ways of the king who shall reign over them."
3. 왕정의 허락 그것은 재앙
하나님은 왕정을 허락했지만 조건이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조건 없는 수락이 아닌 심판적 허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먼저 아들들을 빼앗아 징병을 하겠다고 하고 딸들은 데려가 노역을 시키겠다고 합니다. 그리고 토지 곡물 등에 대한 세금과 징수를 선포합니다. 신분 이동도 단절 시키는 등 이집트 노예 생활이 따로 없어 보입니다. 그러니까 야훼는 축복으로서 허락이 아닌 재앙으로 아니 경고 차원의 허락으로 보입니다.
10. So Samuel told all the words of the Lord to the people who were asking for a king from him. 11 He said, "These will be the ways of the king who will reign over you; he will take king who will reign over you: he will take your sons and appoint them to his chariots and to be his horsemen and to run before his chariots. 12 And he will appoint for himself commanders of thousands and commanders of fifties, and some to plough his ground and to reap his harvest, and to make his implements of war and the equipment of his chariots. 13 He will take your daughters to be perfumers and cooks and bakers. 14 He will take the best of your fields and vineyards and olive orchards and give them to his servants. 15 He will take the tenth of your grain and of your vineyards and give it to his officers and to his servants. 16 He will take your male servants and female servants and the best of your young men and your donkeys, and put them to his work. 17 He will take the tenth of your flocks, and you shall be his slaves. 18 And in that day you will cry out because of your king, whom you have chosen for yourselves, but the Lord will not answer you in that day."
📢 스폰서 링크
4. 왕정체제의 고집 집단적 불복종 아니로소이다!!
이러한 조건을 나열했음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왕정 체제를 고집하였습니다. 인간이 자체 진화를 한 것인지 하나님은 그저 침묵 속 허용이라는 무거운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19. But the people refused to obey the voice of Samuel. AND they said, "No! But there shall be a king over us, 20 that we also may be like all the nations, and that our king may judge us and go out before us and fight our battles." 21 And when Samuel had heard all the words of the people, he repeated them in the ears of the Lord. 22 And the Lord said to Samuel, "Obey their voice and make them a king." Samuel then said to the men of Israel, "Go every man to his city."
📢 스폰서 링크
마무리
사무엘상 8장은 단순한 제도 도입의 기록이 아닙니다. 그날은 이스라엘이 하늘의 질서를 버리고 땅의 질서를 요청한 날, 선민이길 포기하고 고이임처럼 되길 바란 날, 곧 신앙의 구별이 문명의 모방에 무너진 날이었습니다. 왕정은 결국 다윗과 메시아로 이어지지만, 그 출발은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집단적 저항이었으며, 스스로 종이 되길 택한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스폰서 링크
'win.ter book > 성경 자의적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스바이 회개와 에벤에셀의 돌 사무엘상 7장 (1) | 2025.05.18 |
---|---|
언약궤의 귀환 뿌리깊은 선민의식 보여주는 사무엘상 6장 (0) | 2025.05.16 |
언약궤를 훔친 민족의 최후 사무엘상 5장 (0) | 2025.05.13 |
언약궤를 상실한 이스라엘인의 충격이 담긴 사무엘상 4장 (1) | 2025.05.09 |
낡은 질서에서 새로운 질서로 사무엘상 3장 (0) | 2025.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