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ter book/성경 자의적 해석

언약궤를 훔친 민족의 최후 사무엘상 5장

by winter-art 2025. 5. 13.
사무엘상 5장은 언약궤(언약의 궤, 하나님의 궤)가 블레셋에 의해 빼앗긴 뒤 그 궤가 가져간 재앙의 서사를 담고 있습니다. 주된 내용은 “하나님의 궤 앞에 어떤 신도, 어떤 권세도 설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일종의 신학적 풍자극이자 재앙 서사입니다. 다음은 구조적 요약입니다

📢 스폰서 링크

1. 다곤 신상이 꺾인 이유

블레셋 사람들이 전리품처럼 언약궤를 가져 옵니다. 이들은 언약궤가 무슨 승리의 아이템이라 여겨 다곤 신전 문턱 앞에 갖다 놓게 되죠. 그런데 다음날 다곤 성상의 얼굴이 고꾸라져 궤 앞에 엎드려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세워 놓았더니 다음 날엔 머리와 두 손이 꺾여 문지방에 있었습니다. 당연히 블레셋 사람들은 이것에 두려움을 느끼고 의미를 부여하게 됩니다.

 

 

1. When the Philistines captured the ark of God, they brought it from Ebenezer to Ashdod. 2 Then the PHIlistines took the ark of God and brought it into the house of Dagon and set it up beside Dagon. 3 And when the people of Ashdod rose early the next day, behold, Dagon had fallen face down on the ground before the ark of the Lord. So they took Dagon and put him back in his place. 4. But when they rose early on the next morning, behold, Dagon had fallen face down on the ground before the ark of the Lord, and the head of Dagon and both his hands were lying cut off on the threshold. Only the trunk of Dagon was left to him. 5. This is why the priests of Dagon and all who enter the house of Dagon do not tread on the thereshold of Dagon in Ashdod to this day.

 

이들은 야훼를 패배한 신으로 보고 다곤의 발 아래 복속시키려고 했지만 생각대로 되지 않았던 겁니다. 그리고 인상적이게도 이때부터 문지방 풍습이 시작됩니다. 오늘날 까지도 다곤의 문지방을 밟지 않게 되었다고 5절에 나오네요.

📢 스폰서 링크

2. 블레셋에 퍼진 재앙

재앙은 이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스돗에는 사람들이 종기가 발생해 궤의 재앙을 체감하고 다른 도시로 옮기려 합니다. 가드 역시 동일한 질병이 발생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점점 두려움이 확산되었고요. 에그론에서도 절규와 죽음의 공포로 가득합니다. 

 

6. The hand of the Lord was heavy against the people of Ashdod, and he terrified and afflicted them with tumours, both in Ashdod and its territory. 7 And when the men of Ashdod saw how things were, they said,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must not remain with us, for his hand is hard against us and against Dagon our god." 8 So they sent and gathered together all the lords of the Philistines and said, "What shall we do with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They answered, "Let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be broutht round to Gath." So they brought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there. 9 But after they had brought it round, the hand of the Lord was against the city, causing a very great panic, and he afflicted the men of the city, both young and old, so that tumours broke out on them. 10 So they sent the ark of God to Ekron. But as soon as Ekron cried out, "They have brought round to us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to kill us and our people." 11 They sent therefore and and said, " Send away the ark of the God of Israel, and let it return to its own place, that it may not kill us and our people. " For there was a deathly panic throughout the whole city. The hand of God was very heavy there. 12 The men who did not die were struck with tumours, and the cry of the city went up to heaven.

 

뭔가 위험한 성분으로 가득찬 상자이었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리 조심스럽게 다룬 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신앙적으로는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이라고 하고 단순한 물체가 아닌 야훼의 이동식 보좌인데 저리 블레셋 사람들이 가져갔으니 말입니다. 하나님의 임재 증거를 꽁꽁 싸매고 신주단지 모시듯이 한 것에는 다른 이유도 분명히 있어 보입니다. 지난 번에도 서술했지만 핵폭탄이 아닌가 싶어서 말입니다.

블레셋 사람들은 이 위험한 물건을 함부로 둬서 재앙이 닥친 건 아닌가 싶은데요. 여리고 도시도 초토화 시킬 정도면 충분히 의심이 가긴 합니다.

3. 전염병 창궐의 의미

일부 사본에서는 쥐떼와 전염병이 창궐하게 되는데요. 전염병은 공동체의 해체, 문명 파괴의 징조로 읽힐 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트로이 목마처럼 언약궤를 적군의 심장 부위에 놓음으로서 더 초토화하는데 성공한 것 같아 보일 정도입니다. 결과적으로 언약궤는 만능 무기였던 것 아닌가요?

📢 스폰서 링크

4.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졌지만 야훼는 이겼다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졌지만 야훼는 이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손에서 벗어나 스스로 전쟁에서 이긴 겁니다. 그런데 참으로 아이러니한 것은 야훼는 충분히 블레셋 사람들도 선택해서 복종하게 할 수 있었을텐데 왜 이스라엘의 야훼로만 남은 걸까요? 이런 저런 심오한 해석들이 많지만, 그냥 민족신으로 보이는 결정적 이유가 된다고 보입니다.

 

📢 스폰서 링크

전쟁 뒤의 숨교진 종교 선전

블레셋 사람들은 나의 신이 너의 신보다 위대하다고 증명하려고 했던 것 같지만 철저하게 실패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졌지만 종교적 권위는 오히려 복구되었으며 야훼의 존재감은 더욱 부상한 것이 포인트 같습니다.

문지방을 밟지 않는 풍습에 관해서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 스폰서 링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