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창고138 역사의 연구 문명의 비교편 역사의 연구 그리스 정교 사회 그리스 정교 사회의 발상지는 비잔틴령의 아나톨리아이다. 이들은 북쪽과 동쪽 방향으로 뻗어 나가 러시아 및 시베리아 전역에 걸쳐 퍼져나갔고 동아시아 사회를 침범한다. 3세기 동안 분열 과정을 거치고 8세기 성상 파괴 논쟁으로 시작해 1054년 신학상 문제로 격렬한 싸움 끝에 끝이 났다. 분열된 두 사회의 교회는 뚜렷이 대립하는 정치적 성향을 띠었고 서방의 가톨릭 교회는 중세 교황제의 독립적인 권위 밑에서 중앙집권적으로 통일되었고, 그리스 정교회는 비잔틴 국가의 한 부분이 되었다. 30. 이슬람 사회 이슬람 사회의 세계 국가는 바그다드의 압바스 왕조인 칼리프국이다. 칼리프국의 몰락과 함께 민족 이동을 해 온 것이 유라시아 스텝 지대의 투르크 및 몽골 유목민과 북아프리카의 베르베.. 2021. 11. 5.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루덴스 중 음악에 관한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9 개정판 요한 하위징아의 음악에 관한 음악은 놀이 기능을 가장 고상하고 순수하게 표현한 형태이다. 18세기 음악의 가장 큰 의미는 놀이 내용과 미학적 내용 사이에 완벽한 균형을 이뤘다는 점이다. 순수하게 청각적 현상인 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세련되어졌고 풍부해졌다. 옛 악기들이 개선되었고 새로운 악기들이 발명되었으며, 그 결과 오케스트라는 더 큰 음량과 더 넓은 폭의 변화를 성취할 수 있었다. 여성의 목소리는 음악적 공연에서 더 많은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기악이 점점 성악의 자리를 대신하자 음악과 말의 상호 연관은 느슨해졌고 기악의 위치가 독립 예술로서 더 확고해졌다. 일상생활 속에서 퍼져 나가는 점증하는 세속화 운동도 이에 기여했다... 2021. 11. 1.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루덴스 요한 하위징아 지음, 호모루덴스, 이종인 옮김,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9 개정판 놀이는 문화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 우리의 시대보다 더 행복했던 시대에 인류는 자기 자신을 가리켜 감히 호모 사피엔스(합리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라고 불렀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우리 인류는 합리주의와 순수 낙관론을 숭상했던 18세기 사람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그리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게 밝혀졌고, 그리하여 현대인들은 인류를 호모 파베르(물건을 만들어내는 인간)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나는 호모 파베르 바로 옆에,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와 같은 수준으로,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을 인류 지칭 용어의 리스트에 등재시키고자 한다. 21. 학자들은 놀이에 관해 모방 본능을 만족시키기 혹은 긴장을 해소시키기 등으로 .. 2021. 10. 31.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책추천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새뮤엘 노아 크레이머, 박성식 인간의 역사에 기록된 최초의 정치적인 의회는 기원전 3000년경에 진지하게 열렸다. 우리의 의회와 흡사하게 양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장자들의 회합인 상원과 전투에 임할 수 있는 하원이 그것이었다. 전쟁 가부를 놓고 상원은 평화를 왕은 거부권을 행사하고 문제를 하원으로 가져갔다. 하원은 전쟁과 자유를 선언했고 왕은 이를 승인했다. 인류 최초 의회가 열린 수메르 땅 인류에게 알려진 이 최초의 의회는 아시아 지역에서 열렸다. 바로 페르시아 만 북쪽의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에 있는 고대 수메르로 알려진 땅이었다. 수메르 인들은 체계적인 철학을 전개하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그들은 자연, 특히 우주의 기원과 그 작용의 원리에 관하여 많은 .. 2021. 10. 30.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역사의 연구 중 문명 생활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들의 대부분은 시공간을 달리하여 몇 차례고 되풀이되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원시 사회와 문명사회의 본질적인 차이는 제도의 유무에 있는 것은 아니다. 제도는 모든 사회의 존립의 근거인 개인에게 일어나는 비개인적 관계의 매개자이며, 또한 아무리 작은 원시 사회라도 개인이 직접 관계를 맺어 형성되는 좁은 서클보다는 넓은 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도는 모든 종류의 사회의 속성이므로 이들 원시사회와 문명 사회가 공통적으로 지니는 소유물이다. 원시 사회는 전문성이라는 것이 정상이 못 되며 만능인 또는 팔방미인이 될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인간이 변칙으로 전문인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문명 사회와 원시 사회의 비교 문명과 우리가 알고 있는.. 2021. 10. 29. 로베르트 발저의 벤야멘타 하인학교 리뷰 벤야멘타 하인학원은 배우는 것도 없고 가르치는 교사들도 없다. 배움 따위는 쓸모없다고 보고, 이곳에서 배우는 이들은 훗날 누군가에게 예속될 미미한 존재로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인내와 복종을 각인 시킨 내면의 성공이 무슨 소용인가. 야콥은 정말이지 부자가 되고 싶어했다. 책추천 로베르트 발저의 하인학교 줄거리 하인학교의 모범수 아니 모범생 크라우스에게는 원칙이라는 것이 있다. 그가 타고 있는 것은 만족이라는 말이다. 질주를 원하는 사람들이라면 타고 싶어하지 않을 형편없는 말인데, 이곳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는 야콥을 이해할 수 없는 존재로 만들어 버렸다. 하인학원의 생도들은 완전히 빈털터리에 몸은 완전히 묶여 있다는 하찮은 공통점이 있다. 야콥처럼 담배를 피우는 놈은 낭비를 일삼는다는 이유로 걱정거리가.. 2021. 10. 29.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리뷰1 토인비, 역사의 연구, 홍사중 옮김, 동서문화사, 1978. 역사를 한 나라에 국한하지 않고 함께 겪은 경험의 관점으로 연구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는 엄청 재밌게 읽은 책이다. 오랜만에 다시 보니 처음 읽는 것처럼 뇌가 깨끗해졌길래 복습하는 차원에서 줄 친 부분 등 생각나는 대로 주절주절 나열해 보기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 아테네는 또다른 방법으로 인구 문제에 대처하였다. 즉 수출을 목표로 하여 농업 생산을 전문화하고, 역시 수출을 위한 제조업을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경제적 혁신의 결과로 나타난 새로운 계급에게 정당한 정치적 권력을 부여하는 정치 제도를 발달시켰다. 그리하여 뜻밖에도 헬라스 사회 전체를 위한 새로운 진보의 길을 열어 놓았다.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역사는 다른 방향으로 정상에서 벗어났으며 .. 2021. 10. 29. 톰 밴더빌트의 취향의 탄생 책추천 톰 밴더빌트, 취향의 탄생, 박준형 옮김, 토네이도, 2016 참신함과 친근함으로 결정되는 취향의 탄생 사람들이 미래의 취향을 예측하지 못하는 여러 이유 중 하나는 ‘참신함’이다. 취향이 변하는 이유도 같다. 취향의 과학에서 참신함은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참신함을 갈구한다. 패션의 거의 모든 영역을 규정하는 것도 바로 참신함이다. 249. 하지만 앞에서 설명했듯이 친근함도 중요하다. 샬롯 퍼킨스 갈먼은 “우리는 익숙한 것을 좋아한다”라고 말했다. 엄격하게 친근함에만 집중한다면 변화는 없을 것이다. 새로운 예술 양식도 음악 장르도 상품도 없을 것이다.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는 자본주의의 역할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것을 좋아하게 해서 구매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생산자들은 경제적 .. 2021. 10. 28.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