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7 생각할수록 박복한 모세의 일대기 기독교인들은 모세를 신급으로 추앙하는 분위기이며 믿는 자들 중 자식 이름도 모세로 짓는 경우가 많은데요. 생각할수록 모세는 파란만장하며 박복한 삶의 아이콘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모세의 일대기를 한번 살펴볼까요? 노예로 태어나 왕자로 살다이집트의 파라오는 히브리인들 노예들 인구가 늘어나는 것을 우려하여 히브리인 아들이 태어나면 무조건 죽이라고 했습니다. 나일강에 던져 죽이라고 했지만 모세의 누나 미리암은 갓 태어난 동생을 갈대 상자에 넣어 나일강에 띄웁니다. 그러다 파라오의 딸이 목욕하러 나왔다가 모세를 발견하였고요. 미리암은 유모를 구해주겠다며 엄마를 붙여 줍니다. 그리하여 모세는 이집트의 왕자로 살고 엄마는 유모로 살게 됩니다. 이집트의 왕자로 살면서 모세는 나름 교육도 잘 받고 잘 먹고 게다가 비록.. 2025. 2. 19. 칼 구스타프 융의 원형 이론에 관하여 칼 융의 원형 이론은 인간이 집단무의식에 내재된 보편적 심리구조를 의미합니다. 원형이론은 칼융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개인의 경험을 초월하여 인류가 공유하는 심리적 구조로 작용하며, 신화, 종교, 문학 등에 자주 등장하는 이론입니다. 집단 무의식 집단의 기억인류의 공통된 경험이 축적된 정신적 패턴이 융의 원형 이론에서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모든 문화권에 발견되는 보편적 이미지와 상징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칼 율이 말하는 원초적, 그러니까 원형은 인간의 깊숙한 심리 속에 들어간 보편적 심상이며 세대를 거쳐 무의식 속에 축적된 경험의 흔적입니다. 이러한 원형은 직접적으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인간의 꿈, 상징, 예술, 신화, 종교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드러납니다. 또한, 개인의 무의식이 아닌 집단 무의식.. 2025. 2. 17. 알아두면 좋은 게인 로스 효과에 관하여 게인 로스 효과(gain loss effect)는 사람이 상대방의 태도 방식에 따라 감정적으로 다르게 반응하는 심리 현상을 의미한다. 처음에 좋았다가 나빠지는 경우 그리고 반대도 해당하는데요 게인 로스 효과는 인간관계 처세술에 상당히 도움이 되니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게인 로스 효과란?게인은(gain)은 말 그대로 얻는다는 것이고 로스는(loss)잃는다는 것입니다. 게인은 상대방이 나에 대한 태도를 처음에는 부정적으로 보다가 점차 긍정적으로 보게 되면 호감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로스는 상대방에 나를 처음에는 좋게 봤다가 점차 안 좋게 보였을 때 상대방에 대한 반감이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람은 절대적인 호감보다는 변화하는 태도에 더 강하게 반응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 2025. 2. 16. 가스라이팅의 명확한 정의에 관하여 가스등 효과 즉 가스라이팅 gaslighting이란 상대방의 현실 감각을 조작하여 스스로 의심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작 기법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의 판단이나 기억에서 감정까지 믿지 못하게 만들고 가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세뇌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요즘은 가스라이팅 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가스라이팅 효과의 유래 가스등, gas light라는 용어는 1938년 영국 연극 gas light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훗날 1944년 영화 가스라이팅이 개봉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잉그리드 버그만이 열연을 펼친 영화로 기억되는데요. 이 영화에서 남편이 아내를 정신적으로 조작하여 그녀를 미쳤다고 만들기 위해 집안의 가스등 불빛을 은밀히 어둡게.. 2025. 2. 11. 쇼펜하우어의 표상 이론에 관하여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칸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창적으로 의지의 개념을 발전시킨 형이상학 체계를 형성하였습니다. 그의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다루고 있는 표상 이론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표상의 의미쇼펜하우어는 칸트의 현상과 물자체를 구분하는 인식론을 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세계는 표상이다라는 독특한 개념을 덧입혔습니다. 그가 말하길 인간에게 주어진 모든 경험과 세계 자체가 단순히 표상에 불과하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우리 의식 속에서 구성된 것일 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인데요. 마치 이 세계는 시뮬레이션되었다고 주장하는 일론 머스크와 같은 생각이 아닌가 합니다. 어찌되었든 쇼펜하우어의 주요 철학 개념은 표상과 의지가 있으며 그가 말하는 표상은 .. 2025. 2. 11. 철학 공부의 시작과 연대기 서양 철학사는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뉘며 시기마다 중요한 철학자들이 등장했다. 서양 철학사의 주요 흐름을 시대별로 분류해 보자. 고대 철학(기원전 6세기~기원후 5세기)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으로 밀레토스 학파로 불리는 자연 철학 그리고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시대 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헬레니즘 철학의 도래이다. 서양 철학의 시초로 불리는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보았다. 이후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는 근본 원리를 무한자와 공기로 설명했다. 피타고라스는 수와 조화의 철학을 주장하였다. 헤라 클레이토스는 만물은 흐른다며 변화를 강조하였다. 소피스트들은 상대주의적 윤리와 인식론을 주장하였는데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 등이 해당한다. 너 자신을 알라, 로 유명한 소크라테스는 .. 2025. 2. 11. 후리안 족에 관하여 후리 안(Hurrian)족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현재의 이라크, 시리아, 터키, 가나안 지역에 걸쳐 거주했던 민족으로 히타이트,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등과 교류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한 민족입니다. 특히 미탄니(Mitanni) 왕국을 세워 중동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성경 속 호리족과 연관이 깊습니다. 후리안 족의 기원 기원전 3000년경부터 존재했던 후리안 족은 기원전 1200년경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침략으로 사라졌습니다. 이들은 메소포타미아 북부, 즉 이라크 북부와 시리아 그리고 터키 남부 부근에서 거주하였습니다. 기원전 1600~1260년경까지 미탄니 왕국으로 존재했습니다. 아르메니아 고원과 코카서스 지역은 물론 가나안 그리고 팔레스타인 일부도 후리안 족이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졌습.. 2025. 2. 10. 레위 지파의 후손이 만든 리바이스 브랜드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12지파 중 제사장 역할을 맡아했던 레위 지파는 쉽게 말해 제사 담당이었습니다. 레위 지파는 이스라엘에서 특정한 거주지를 분배받아 살았지만 이스라엘 성전이 파괴되면서 뿔뿔이 흩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후손들은 여전히 명맥을 이어가고 있을 듯합니다. 레위 지파의 후손을 찾아서하나님의 특별한 선택을 받은 레위 지파는, 어찌보면 초기 가장 높은 대우를 받은 직급으로 보이는데요. 혹시 지금도 보이지 않은 손으로 작용하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궁금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레위 지파의 후손은 레위(levi) 혹은 코헨(cohen)이라는 성을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코헨은 히브리어로 제사장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유대인 중 레위 지파 후손들은 현재까지도 존재하며 유대인 사회.. 2025. 1. 31. 이전 1 2 3 4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