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5 언약궤를 다시 모셔오다 사무엘하 6장 1. 언약궤를 옮길 준비다윗은 약 삼만 명을 모이게 하였다. 그는 언약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기 위해 새 수레를 준비하고 아비나답의 아들들이 이를 몰게 했습니다.언약궤를 이들이 몰게 한 이유는, 블레셋 땅에서 돌아온 후 기럇여아림의 아비나답 집에 장기간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무엘상 7장 내용을 참조하시고요. 명백한 권력 이동임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1.David again gathered all the chosen men of Israel, thirty thousand. 2. And David arose and went with all the people who were with him from Baal-judah to bring up from there the ark of God, whic.. 2025. 9. 11. 소설 창작의 모든 것 1. 문학의 정의인간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를 이용하여 허구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문학은 구비문학에서 문자문학으로 발전하였다. 서사문학이 되기 위한 조건은 이야기와 화자, 서사문학은 이야기와 이야기하는 사람이 내포되어 있는 양식이다. 이야기는 내용을, 이야기하는 사람, 스토리텔러, 내레이터 형식을 이룬다. 이야기의 성립 요건은 소통이 되어야 한다.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소통되는 스토리가 있어야 하며 하나 이상의 사건이 필요하다.스토리는 서술하기 위한 원재료이다.서사문학이란 스토리를 서술자가 서술하는 과정이 글과 같은 매체로 옮겨진 것이다. 2. 서사문학의 성격1인칭과 3인칭 형식이 있다. 내용과 형식을 나눌 수 있다. 시간의 예술이다. 소설은 서정시와 드라마 양쪽의 특성을 다 소화 가능하다. 소설은 현.. 2025. 9. 10. 세계 최초의 신화들 세계 최초의 신화는 인류가 고대부터 자신들의 기원, 자연현상,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들이다. 이러한 신화는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후에 문자로 기록되었다. 1. 수메르 신화길가메시 서사시 (Epic of Gilgamesh):내용: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와 그의 친구 엔키두의 모험, 불사의 비밀을 찾기 위한 여정을 다룬다. 이 서사시는 대홍수 이야기, 우정, 죽음과 불멸 등의 주제를 포함한다.특징: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서사시 중 하나로, 많은 현대 문학과 비교 신화학의 기초가 된다. 2. 바빌로니아 신화에누마 엘리쉬 (Enuma Elish):내용: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로, 혼돈의 물인 아프수와 티아마트에서 신들이 태어나고, 마르둑 신이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상을 창조하는 이야기를.. 2025. 9. 8. 죽음과 새가 연결된 사례 보기 고대부터 새는 죽음과 아주 밀접합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죽으면 새가 된다고도 하고 어떤 나라에서는 새는 죽음의 전령사라고도 합니다. 죽음과 새가 연결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장례식이나 유골을 뿌릴 때 새가 나타나는 이유고대 인디언 전통 중에는 사람이 죽은 후 독수시가 시신을 물어가면 그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다고 믿었습니다. 실제로 가족이 유골을 뿌리는 순간 독수리 한 마리가 나타나 유골을 물고 날아갔다는 사례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밖에 까마귀가 유골을 지킨 이야기도 있습니다. 유럽에는 까마귀가 죽은 자의 영혼을 인도하는 존재로 여겼습니다. 장례식장에서 특별한 새, 하얗거나 까맣거나 크거나 등의 범상치 않은 새가 주변을 맴돈 사례는 적지 않게 발견되곤 합니다. 2. 한밤중에 새가 사라지는 현상.. 2025. 8. 24. 시지프스 신화의 행적 및 응용 모티브 작품들 시지프스(Sisyphu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신들을 속이고 기만한 죄로 영원히 무거운 바위를 산 정상까지 굴려 올리는 형벌을 받은 코린토스의 왕입니다. 그의 이야기는 무의미한 노동과 인간의 실존에 대한 깊은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시지프스 신화의 행적신화 속 시지프스는 간교하고 지혜로운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지혜를 활용하여 신들과 죽음을 속여왔다.시지프스는 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쇠사슬로 묶어 지하 세계로 보내 한동안 지상에 아무도 죽지 않는 기이한 상황을 만들기도 했다. 이 때문에 분노한 신들은 전쟁이 신 아레스에게 타나토스를 구출하도록 명령하여 타나토스는 시지프스를 데려가가 된다. 또한, 시지프스는 죽기 전 아내에게 자신의 시신을 매장하지 말라고 미리 부탁했다... 2025. 8. 23. 이스라엘 왕이 된 다윗편 사무엘하 5장 사무엘하 5장은 다윗이 마침내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통치 기반을 확립하고,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이스라엘 왕이 된 다윗유다 지파의 왕이던 다윗에게 이스라엘 지파 모든 장로들이 찾아와 그를 왕으로 추대합니다. 이들은 다윗이 이스라엘의 한 육친이며 사울 왕 때도 이스라엘을 이끈 실질적 지도자였음을 인정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다윗더러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어 이스라엘의 주권자가 되리라고 말하셨다고 언급합니다. 그리하여 다윗은 헤브론에서 이스라엘 장로들과 언약을 맺고 기름 부 음을 받아 통일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사무엘로부터 기름부음을 받았고 두 번째는 유다 장로들이 세 번째는 이스라엘 전 장로들이 기름을 부어 주며 통일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습니다. 1. T.. 2025. 8. 18. 사울 왕가의 몰락을 상징하는 사무엘하 4장 사무엘하 4장은 사울 왕가의 몰락과 다윗의 통일 왕국 기반이 더욱 굳건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사울 왕가 붕괴 암시아브넬이 죽자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이 낙심했다고 합니다. 아브넬은 간통하다 걸려서 다윗에게 붙은 것인데 이를 또 이스보셋이 안타까워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1. When Ish-bosheth, Saul's son, heard that Abner had died at Hebron, his courage failed, and all Israel was dismayed. 2. Now Saul's son had two men who were captains of raiding bands; the name of one was Beeroth(for Beeroth also is counte.. 2025. 8. 14. 다윗과 사울간의 끝나지 않은 권력 투쟁 사무엘하 3장 사무엘하 3장은 다윗과 사울 가문 간의 권력 투쟁이 계속되는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1. 다윗과 사울 가문의 전쟁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은 이스라엘 왕으로 계승을 받았고 다윗은 유다의 왕으로 통치를 하고 있었습니다. 한 나라에 두 명의 왕이 대립하고 있는 꼴입니다. 그러나 다윗 가문은 점점 강해진 반면 사울 가문은 기울어가고 있었습니다. 1. There was a long war between the house of Saul and the house of David. And David grew stronger and stronger. while the house of Saul became weaker and weaker. 또한, 다윗은 헤브론에서 있는 6년 6개월 동안 여섯 아들을 낳았고 각각 이름이 기록.. 2025. 8. 12. 이전 1 2 3 4 ···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