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창고166

로마 신화 속 야누스 신 두 얼굴의 신화를 읽다 로마 신화 속 독특한 신, 야누스(Janus)는 단순한 신격을 넘어 시간과 공간, 과거와 미래의 경계를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이 글에서는 야누스 신의 기원부터 그의 철학적 상징성, 그리고 현대적 해석까지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1. 야누스란 누구인가?야누스(Janus)는 로마 고유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에는 직접적인 대응 신이 없습니다. 그는 주로 두 개의 얼굴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하나는 과거, 다른 하나는 미래를 바라봅니다.관장 영역: 문(門), 문지방, 시작과 끝, 전환(transition), 이행상징 물건: 열쇠와 지팡이 – 문을 여는 자이자 길을 인도하는 자그는 단순한 공간의 문을 지킬 뿐 아니라, 시간과 존재의 문턱까지도 관장하는 신이었습니다. 2. 로마인의 삶 속에 깃든 야누스 신로마 .. 2025. 5. 13.
필립 클로델의 회색 영혼 리뷰 "사람들은 삶이 불공평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죽음은 더 불공평하다."프랑스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필립 클로델(Philippe Claudel)은 『회색 영혼(La Petite Fille de Monsieur Linh)』을 통해 인간 존재의 비가시적 결, 그리고 윤리적 애매함을 섬세하게 탐색한다. 그의 문장은 감정의 짙은 농도를 가지면서도, 드러내는 데 있어 극히 절제되어 있다. 『회색 영혼』은 전쟁이라는 역사적 배경 위에, 정의도 부정도 명확하게 할 수 없는 ‘회색 지대’의 인간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작품이다.1. 말하지 않는 자, 그러나 기억하는 자"나는 그저 알고 있을 뿐이다.누군가에게 털어놓을 때를 기다리며 이 모든 사실을 수집하고 재구성하며 살아왔기에."소설의 서술자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 2025. 5. 12.
아이스클로스의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리뷰 고대의 비극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단순하지 않다. 그 질문은 늘 무겁고, 모순적이며, 인간과 신, 피와 정의 사이의 틈을 벌려 놓는다. 아이스킬로스의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은 그 균열 속을 응시하게 만든다.1. 정의인가, 복수인가: 오레스테스의 칼끝“어머니가 내 아들아 하고 부르면내 아버님의 아들이라 답하고 살해하라.”『제주를 바치는 여인들』에서 중심이 되는 갈등은 단순한 가족 비극이 아니다. 아버지를 살해한 어머니, 그 어머니를 다시 죽이는 아들. 복수의 굴레 안에 내던져진 인간은 더 이상 인간이 아니다. 그는 신탁의 명령을 따르는 도구이자, 정의의 이름을 입은 살인자다.아폴론의 명은 분명하다. “피는 피로 갚는다.” 그러나 그 피가 모친의 것일 때, 그 정의는 신의 뜻인가 인간의 파멸인가.2. .. 2025. 5. 12.
오에 겐자부로의 '하마에게 물리다' 간략 리뷰 오에 겐자부로의 『하마에게 물리다(The Silent Cry)』는 개인의 내면과 역사적 기억이 겹쳐지는 공간을 다룬 걸작입니다. 형제의 갈등을 중심으로, 일본 사회의 전후 혼란과 인간 존재의 본질을 파고들며, 폭력과 정체성, 사유와 침묵의 경계를 탐색합니다.1. 작품 개요: 고향이라는 이름의 ‘시간 감옥’『하마에게 물리다』는 1967년에 발표된 오에 겐자부로의 대표작으로, 형제인 미쓰사부로와 다카시가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들은 100년 전 마을에서 일어난 봉기를 되짚으며, 과거와 현재의 경계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과 삶의 의미를 마주하게 됩니다. 소설은 역사의 순환을 개인의 비극과 맞물려 풀어내며, 현재라는 시대를 살아가는 방식을 묻습니다. 2. 등장인물과 상징: 형.. 2025. 4. 18.
81자로 쓰인 천부경의 모든 것 천부경은 81자로만 쓰인 매우 짧은 경전입니다. 하지만 이 책에 담긴 내용은 우주, 철학, 수학적 원리, 인간과 우주의 관계 등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천부경의 핵심사상은 일(一)의 철학과 삼극의 원리 그리고 수학적 우주관을 집중 해부해 보겠습니다. 천부경의 핵심사상  일의 철학-천부경에서 모든 존재의 시작과 끝은 하나에서 비롯되며 이는 절대적 존재, 우주의 근본 원리를 상징합니다. 이것은 무한한 순환을 의미하며 불교의 연기(椽起) 사상이나 도교의 무극 개념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삼극의 원리-하늘을 의미하는 천, 땅의 지, 사람 인, 즉 천지인 세 가지 원리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이는 동향철학에 자주 등장하는 삼재(三才) 사상과 연관되며 인간이 우주와 자연의 조화 속에서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2025. 2. 23.
칼 구스타프 융의 원형 이론에 관하여 칼 융의 원형 이론은 인간이 집단무의식에 내재된 보편적 심리구조를 의미합니다. 원형이론은 칼융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개인의 경험을 초월하여 인류가 공유하는 심리적 구조로 작용하며, 신화, 종교, 문학 등에 자주 등장하는 이론입니다. 집단 무의식 집단의 기억인류의 공통된 경험이 축적된 정신적 패턴이 융의 원형 이론에서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모든 문화권에 발견되는 보편적 이미지와 상징을 일컫는다고 합니다. 칼 율이 말하는 원초적, 그러니까 원형은 인간의 깊숙한 심리 속에 들어간 보편적 심상이며 세대를 거쳐 무의식 속에 축적된 경험의 흔적입니다. 이러한 원형은 직접적으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인간의 꿈, 상징, 예술, 신화, 종교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드러납니다. 또한, 개인의 무의식이 아닌 집단 무의식.. 2025. 2. 17.
알아두면 좋은 게인 로스 효과에 관하여 게인 로스 효과(gain loss effect)는 사람이 상대방의 태도 방식에 따라 감정적으로 다르게 반응하는 심리 현상을 의미한다. 처음에 좋았다가 나빠지는 경우 그리고 반대도 해당하는데요 게인 로스 효과는 인간관계 처세술에 상당히 도움이 되니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게인 로스 효과란?게인은(gain)은 말 그대로 얻는다는 것이고 로스는(loss)잃는다는 것입니다. 게인은 상대방이 나에 대한 태도를 처음에는 부정적으로 보다가 점차 긍정적으로 보게 되면 호감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로스는 상대방에 나를 처음에는 좋게 봤다가 점차 안 좋게 보였을 때 상대방에 대한 반감이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람은 절대적인 호감보다는 변화하는 태도에 더 강하게 반응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 2025. 2. 16.
가스라이팅의 명확한 정의에 관하여 가스등 효과 즉 가스라이팅 gaslighting이란 상대방의 현실 감각을 조작하여 스스로 의심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작 기법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의 판단이나 기억에서 감정까지 믿지 못하게 만들고 가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세뇌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요즘은 가스라이팅 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가스라이팅 효과의 유래  가스등, gas light라는 용어는 1938년 영국 연극 gas light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훗날 1944년 영화 가스라이팅이 개봉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잉그리드 버그만이 열연을 펼친 영화로 기억되는데요. 이 영화에서 남편이 아내를 정신적으로 조작하여 그녀를 미쳤다고 만들기 위해 집안의 가스등 불빛을 은밀히 어둡게.. 2025.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