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창고/책 읽어주는 곳

17세기에 등장한 기계론자들에 관하여

by winter-art 2024. 9. 6.

매커니스트 즉 기계론자들은 우주와 자연을 기계적 원리에 의해 설명하려는 철학적 입장을 취한 사람들로 17세기 근대 과학 혁명 시기에 등장한 사상가들입니다. 이들은 자연 세계의 모든 현상과 운동이 물리적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신의 개입이나 초자연적 요소를 배제하였습니다.

 

기계론의 특징에 관하여

 

기계론자들은 우주를 거대한 기계로 상정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모든 사물과 현상은 기계적 운동과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이들은 뉴턴의 고전 역학과 같은 물리학적 법칙들이 자연계 전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사상은 철저하게 결정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자연 현상이 일정한 원인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면 미래의 모든 사건도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니까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닌 예측 가능한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고정된 기계와 같다고 본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이면, 성경 창세기 1장에 보면 창조주가 마치 기계를 가동하는 것과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뭔가 생산적인 가동을 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는데요. 이 시기의 사상가들도 이런 것에 착안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창세기 1장 내용 보기

 

창세기 1장 12절 창조물에 지속적인 재생 능력을 구축한 하나님

신앙이나 신학보다는 개인적인 상상을 가미한 영어공부입니다. 그런데 점점 공상 과학 스타일의 성경 공부로 변질된 느낌입니다. 어쨌거나 지난 시간 공부한 내용을 요약하자면 하나님이 빛과

winterenter.com

 

그러나 기계론자들은 신을 믿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신의 역할을 축소하거나 배제하였습니다. 이들은 자연이 신의 섭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물리적 법칙에 의해 작동한다고 보았으며 그 후 자연은 스스로 움직이는 기계처럼 기능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제가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것을 보면 저도 기계론자인가 봅니다.

 

고대 철학의 기본

 

 기계론의 주요 사상가들

 

기계론적 세계관을 지닌 대표적인 사상가들로는 르네 데카르트와 아이작 뉴턴 그리고 토머스 홉스 등이 있습니다. 르네 데카르트는 자연을 연장된 물질로 보고 이를 수학적. 기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의 신체 역시 기계처럼 작동한다고 보았으며 정신 그러니까 마음은 물리적 세계와 별개의 존재로서 물리적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데카르트는 이원론 그러니까 물질과 정신의 구분을 제창했습니다.

 

 

고전 시대를 대표하는 물리학자 중 최고인 아이작 뉴턴은 기계론적 세계관을 더욱 확립한 인물로 그의 운동 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은 자연계를 수학적.기계적 방식으로 설명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했습니다. 뉴턴은 우주가 거대한 시계처럼 작동한다고 보았고 이 시계는 한 번 설정된 후 물리적 법칙에 따라 스스로 운행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토머스 홉스는 인간의 사고나 감정조차도 물리적 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한 학자입니다. 그는 인간의 신체와 마음을 기계적 원리로 설명하려 했으며 모든 사회 현상 역시 기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자연철학에서 기계론적 사고로

기계론적 사고는 자연 철학과는 대조를 이룹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을 목적론적 관점에서 설명하려 했으나 기계론자들은 자연을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만 이해하려 했습니다. 이는 자연 현상을 더욱 과학적으로 이해하려는 근대적 시도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한 단계 진화한 사상임은 분명해 보이지만 기계론의 결정론적 성격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충돌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기계론적 세계관에서는 인간의 모든 행동과 사고가 물리적 법칙에 의해 결정되므로 인간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물론 17세기 이후 과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생명 현상에 대한 설명의 한계부터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에 도전을 받으며 몇 가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내게 됩니다. 발전의 과정 중 하나이지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