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 11장은 다윗 왕의 통치 시절 중 가장 비극적이고 인간적인 나락을 보여주는 장으로, 그의 권력 남용과 도덕적 타락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이다. 이는 단순한 간음 사건을 넘어, 권력과 욕망, 그리고 인간의 책임에 대한 깊은 신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1. 비극의 씨앗 밧세바를 보다
장의 서두는 “그 해가 돌아와 왕들이 출전할 때”라는 말로 시작된다. 통상적으로 봄철은 고대 왕들이 전쟁에 나가는 시기였다. 그러나 다윗은 이번에는 군대를 요압에게 맡기고 자신은 예루살렘에 머문다. 이는 곧 왕으로서의 책무에서 물러나 안일함과 권력의 타성에 빠진 상태를 암시한다. 이 선택이 바로 비극의 씨앗이 된다.

In the spring of the year, the time when kings go out to battle, David sent Joab, and his servants with him, and all Israel. And they ravaged the Ammonites and besieged Rabbah. But David remained at Jerusalem.
2. It happened, late one afternoon, when David arose from his couch and was walking on the roof of the king's house, that he saw from the roof a woman bathing; and the woman was very beautiful. 3. And David sent and enquired about the woman. And one said, the wife of Uriah the Hitte?" 4. So David sent messengers and took her, and she came to him, and he lay with her.(Now she had been purifying from her uncleanness.) Then she retruned to her house. 5. And the woman conceived, and she sent and told David. " I am pregnant."
저녁 무렵, 다윗은 왕궁 옥상에서 한 여인이 목욕하는 것을 본다. 그 여인은 매우 아름다웠다. 다윗은 사람을 보내 그 여인이 누구인지 알아보게 하는데, 그녀는 엘리암의 딸이자 헷 사람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그녀를 궁으로 데려오게 하여 동침한다. 밧세바는 그 후 임신하게 되고, 다윗은 이 사실을 감추기 위해 음모를 꾸미기 시작한다.
2. 다윗의 음모와 우리아의 죽음
다윗은 전쟁터의 충성스러운 부하 우리아를 불러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한다. 그는 겉으로는 전황을 묻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우리아가 집에 돌아가 아내와 함께 밤을 보내도록 유도하여, 밧세바의 임신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게 하려 한다. 그러나 우리아는 동료 병사들이 전장에서 고생하는데 자신만 편히 집에 있을 수 없다며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의 충성과 절제는 다윗의 죄를 더욱 부각시킨다.
6. So David sent word to Joab, "Send me Uriah the Hittite." And Joab sent Uriah to asked how Joab was doing and how the people were doing and how the war was going. 8. Then David said to Uriah, "Go down to your house and wash your feet." And Uriah went out of the king's house, and there followed him a present from the king. 9. But Uriah slept at the door of the king's house with all the servants of his lord, and did not go down to his house. 10. When they told David, "Uriah did not go down to his house.". David said to Uriah "Have you not come from a hourney? Why did you not go down to your house?" 11. Uriah said to David, "The ark and Israel and Judah dwell in booths, and my lord Joab and the servantss of my lord are camping in the open field. Shall I then go to my house, to eat and to drink and to lie with my wife? As you live, and as your soul lives, I WILL not do this thing." 12. Then David said to Uriah, "Remain here today also, and tomorrow I will send you back, "So Uriah remained in Jerusalem that day and the next. 19. And David invited him, and he ate in his presence in the evening he went out to lie on his couch with the servants of his lord, but he did not go down to his house.
14. In the morning David wrote a letter to Joab and sent it by the hand of Uriah. 15. In the letter he wrote, "Set Uriah in the forefront of the hardest fighting, and then draw back from him, that he may be struck down, and die." 16. And as Joab was besieging the city, he assigned Uriah to the place where he knew there were valliant men. 17. AND THE men of the city came out and fought with Joab, and some fell. Uriah the Hittite also died. 18. THen Joab sent and told David all the news about the fighting. 19. And he instructed the messenger. about the fighting, to the king. 20. then, if the did you go so near the city to fight? Did you not know that they would shoot from the Jerubbesheth? Did not a woman cast an upper millstone on him from the wall, so that he died at Thebez? Why did you go near the the Hittite is dead also."
다윗은 마지막 수단으로 요압에게 편지를 써서 우리아를 전쟁의 가장 치열한 곳에 두고 그를 버려 죽게 하라고 명한다. 편지의 전달자는 바로 우리아 자신이다. 결국 우리아는 전투 중 죽임을 당하고, 다윗은 그의 아내 밧세바를 궁으로 데려와 아내로 삼는다. 겉으로는 모든 일이 마무리된 듯하지만, 성경은 이 장의 끝에서 “다윗이 행한 그 일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하였더라”라고 기록하며, 하나님의 심판이 다가올 것을 암시한다.
3. 다윗의 인간적 비극
사무엘하 11장은 권력과 죄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다윗은 하나님께 기름 부음받은 왕이었지만, 인간적 욕망 앞에서 무너졌다. 그가 하나님의 법을 어기고 이웃의 아내를 취했으며, 충성스러운 부하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이 사건은 왕권이 얼마나 쉽게 타락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장의 진정한 중심은 밧세바가 아니라 다윗의 내면, 즉 하나님 앞에서의 책임이다. 이어지는 사무엘하 12장에서 나단 선지자가 다윗을 책망하고, 다윗이 “내가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노라”고 고백함으로써 비로소 회개의 서사가 열린다.
22. So the messenger went and came and told David all that Joab had sent him to tell. 23. The messenger said to David, "The men gained an advantage over us and came out against us in the field, but we drove them back to the entrance of the gate. 24. Then the archers shot at your servants from the wall. Some of the king's servants are dead, and your servant Uriah the Hittite is dead also." 25. David said to the messenger, "THUs shall you say to Joab, 'Do not let this matter displease you, for the sword devours now one and now anothe. Strengthen your attack against the city and overthrow it.' And encourage him."
4. 다윗의 회개와 하나님의 용서
26. When the wife of Uriah heard that Uriah her husband was dead, she lamented over her husband. 27. And when the mourning was over, David sent and broutht her to his house, and she became his wife and bore him a son. But the thing that David had done displeased the Lord.
하나님은 나단을 통해 “여호와가 네 죄를 사하셨으니 네가 죽지 아니하리라”라고 말씀하신다. 그러나 그 다음 구절은 냉정하다. “그러나 네가 이 일로 여호와의 원수들에게 큰 비방거리를 주었으므로 너의 아이가 죽을 것이다.” 다윗의 죄는 용서받았지만, 그 행위의 결과는 사라지지 않았다. 죄의 용서는 관계의 회복을 의미하지만, 그 죄가 세상에 남긴 파장은 여전히 현실 속에서 되갚아야 할 몫으로 남는다. 실제로 다윗의 가문은 이후 끊임없는 피비린내 나는 내분, 암논과 압살롬의 비극으로 이어진다.
'win.ter book > 성경 자의적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요한의 비밀서(Apocryphon of John)의 세계관 (0) | 2025.10.29 |
|---|---|
| 오해로 시작된 전쟁 사무엘하 10장 (0) | 2025.10.06 |
| 요나다의 후손을 찾는 다윗 사무엘하 9장 (0) | 2025.10.06 |
| 다윗의 우상화 작업 사무엘하 8장 (0) | 2025.09.22 |
| 다윗의 언약 내용 사무엘하 7장 (0) | 2025.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