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는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뉘며 시기마다 중요한 철학자들이 등장했다. 서양 철학사의 주요 흐름을 시대별로 분류해 보자.
고대 철학(기원전 6세기~기원후 5세기)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으로 밀레토스 학파로 불리는 자연 철학 그리고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시대 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헬레니즘 철학의 도래이다.
서양 철학의 시초로 불리는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보았다. 이후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는 근본 원리를 무한자와 공기로 설명했다. 피타고라스는 수와 조화의 철학을 주장하였다. 헤라 클레이토스는 만물은 흐른다며 변화를 강조하였다. 소피스트들은 상대주의적 윤리와 인식론을 주장하였는데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 등이 해당한다. 너 자신을 알라, 로 유명한 소크라테스는 대화법을 통해 윤리적 탐구를 추구했다. 플라톤은 이데아론으로 유명하며 이상국가론을 발표한다.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과 논리학, 윤리학, 정치학 등 다방면을 연구했다.
중세 철학 (5세기~15세기)
교부 철학으로 불리는 초기 기독교 철학에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강조한 스콜라 철학이 발달한다. 따라서 중세 철학에 기독교는 처음이자 끝으로 보인다. 기독교와 철학이 접목되면서 한 나라 안에 교황과 왕이라는 두 지배자가 존재하고 이로 인한 갈등이 세계관을 형성하게 된다. 신플라톤주의 기반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의 도성과 인간의 도성을 연구하였고 보에티우스는 중세 초기 철학자로 신과 인간관계를 논했다. 안셀무스는 신의 존재를, 그야말로 존재론적 증명하는데 추구하였고 아벨라르는 보편논쟁, 즉 유명론과 실재론으로 논쟁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렐레스 철학과 기독교 사상의 종합으로 신학대전을 저술했다. 그가 조화와 종합을 강조했다면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윌리암 오컴은 종합에서 회의주의로 전향하였다. 마틴 루터는 주의주의와 유명론으로 오직 신앙으로 해결하려 하였다.
근대 철학(15세기~19세기)
르네상스 인문주의에서 경험론과 합리론에 이어 계몽주의와 독일 관념론에 이른다. 데카르트는 서양 철학 및 합리론의 창시자로 불린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프랜시스 베이컨은 경험론의 창시자로 귀납법을 강조했다. 홉스는 사회계약론으로 유명하며 인간 본성을 이기적으로 보았다. 로크는 경험론자이며 인간의 마음은 백지라고 하였다. 라이프니치는 단자론, 미적분을 공동 창시했다. 스피노자는 범신론적 철학을 강조하며 신은 자연이다라고 하였다. 버클리는 관념론자로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라고 했다. 흄은 경험론과 회의론자로 인과관계를 비판했다. 칸트는 인식론의 혁명으로 순수이성을 비판하며 경험론과 합리론의 종합편이다. 피히테와 셸링, 헤겔은 독일 관념론의 선두주자로 변증법적 사고 특히 헤겔의 변증법이 유명하다.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철학으로 비관주의 혹은 염세주의적 세계관이 두드러진다.
현대 철학(19세기~현재)
실존주의에서 분석 철학 다음으로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로 나뉘는 현대 철학 계보이다.
제러미 벤담은 고전 공리주의 창시자며 양적 공리주의를 강조했고 존 스튜어트 밀은 질적 공리주의를 강조하며 자유주의를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유물론적 역사관으로 계급투쟁 개념을 제시하였다. 20세기 이후 세계 정치와 경제 질서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상가다. 니체는 허무주의자로 신은 죽었다고 하였다. 키에르케고르는 실존주의의 선구자로 유명하며 후설은 현상학의 창시자이다. 하이데거는 존재론을 연구하며 존재와 시간이란 명저를 발표했다. 사르트르는 실존주의자로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고 하였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철학과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졌다. 러셀과 프레게는 논리실증주의를 발전시켰다. 푸코는 권력과 담론을 연구한 후기 구조주의학파이다. 데리다는 해체주의자이고 하버마스는 비판이론 및 사회철학을 연구했다. 슬라보예 지젝은 현대 정신분석철학과 정치철학을 연구했다.
무엇보다 20세기 정치사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적 이념을 두자면 사회주의와 파시즘이다. 평등과 계급투쟁을 강조한 이념이며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아나키즘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주요 사상가로 카를 마르크스부터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있는데 그는 마르크스와 함께 공산주의 이론 발전한 공이 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 혁명을 주도한 레닌주의 창시자이다. 레온 트로츠키는 국제 혁명론으로 레닌주의를 발전시켰다.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주의를 발전시키며 농민 중심 혁명인 마오이즘으로 유명하다. 공산주의에 이어 사회민주주의 사상가로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은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며 개량적 사회주의자였고 로자 룩셈부르크는 혁명적 사회주의자로 반볼셰비키였다. 안토니오 그람시는 헤게모니 이론과 문화적 마르크스주의를 강조하였고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독일식 사회복지국가 모델을 제시했다. 이어 더 나아가 아나키즘은 국가 자체를 없애고 자율적 공동체를 추구하는 사상인데 미하일 바쿠닌은 국가와 권력 철폐를 주장했다. 표트르 크로포트킨은 상호부조론으로 자유로운 협동을 강조했다.
파시즘은 국가주의, 권위주의,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강한 지도자와 일당 독재 체제를 옹호하는 극우 사상디아. 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적 혼란 속에서 등장하여 전체주의적 체제를 형성하였는데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반대하며 민족 단위의 결속과 전쟁을 정당화한다. 이탈리아 파시즘으로 조반니 젠틸레는 파시즘의 철학자로 국가주의적 전체주의 사상을 정립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파시즘의 창시자로 이탈리아 독재자이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는 나의 투쟁, 반유대주의, 독일 민족주의자로 유명하며 알프레도 로젠베르크는 나치 이데올로기 이론가며 인종주의를 정당화했다. 카를 슈미트는 법철학자로 국가권력의 절대성을 강조했다.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파시즘 지도자이다. 오스왈드 모슬리는 영국 파시즘 운동에 기여했다. 파시즘과 대립되는 사상으로 개인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자유주의가 있다.
'인문 창고 > 책 읽어주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라이팅의 명확한 정의에 관하여 (0) | 2025.02.11 |
---|---|
쇼펜하우어의 표상 이론에 관하여 (0) | 2025.02.11 |
세계적으로 유명한 리버럴 아츠 스쿨 리스트 (7) | 2024.10.07 |
데이몬 나이트의 소설창작법에 관하여 (3) | 2024.09.28 |
서사란 무엇인가 저자 미케 발(Mieke Bal)에 관하여 (4) | 2024.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