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폰서 링크
1. 시어머니 나오미의 전략
시어머니 나오미는 며느리 루스를 위해 재혼을 설계합니다. 그녀는 보아스가 ‘기업무를 자’라는 사실을 언급하며, 타작마당에서 보아스가 잠든 후 그의 발치에 눕도록 지시합니다. 이는 고대 이스라엘 문화에서 혼인 요청의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1. Then Naomi her mother-in-law said to her, "My daughter, should I not seek rest for you, that it may be well with you? 2 Is not Boaz our relative, with whose young women you were? See, he is winnowing barley tonight at the threshing floor. 3 Wash therefore and anoint yourself, and put on your cloak and go down to the threshing floor, but do not make yourself known to the man until he has finished eating and drinking. 4 But when he lies down, observe the place where he lies. Then go and uncover his feet and lie down, and he will tell you what to do." 5 And she replied, "All that you say I WILL do."
📢 스폰서 링크
2. 루스의 실행, 침묵 속의 대담한 요청
6. So she went down to the thereshing floor and did just as her mother-in-law had commanded her. 7 And when Boaz had eaten and drunk, and his heart was merry, he went to lie down at the end of the heap of grain. Then she came softly and uncovered his feet and lay down. 8 At midnight the man was startled and turned over, and behold, a woman lay at his feet! 9. He said, 'Who are you?" And she answered, "I am Ruth, your servant. Spread your wings over your servant, for your are a redeemer." 10 And he said, "May you be blessed by the Lord, my daughter. You have made this last kindness greater than the first in that you have no tgone after young men, whether poor or rich. 11 And now, my daughter, do not fear. I will do for you all that you ask, for all my fellow townsmen know that you are a worthy woman. 12 And now it is true that I am a redeemer. Yet there is a redeemer nearer than I . 13 Remain tonight, and in the morning, if he will redeem you, good; let him do it. But if he is not willing to redeem you, then, as the Lord lives, I will redeem you. Lie down until the morning."
루스는 시어머니의 말에 순종하며 행동합니다. 밤에 몰래 타작마당에 들어가 보아스의 발치에 조용히 눕고, 보아스가 깨어났을 때 “당신의 옷자락을 펴 나를 덮으소서”라고 말합니다. 이는 히브리어에서 ‘켄나페카’, 곧 '날개' 또는 ‘보호’를 의미하며, 혼인과 보호 요청의 이중적 의미를 지닙니다. 보아스는 그녀의 신실함을 칭찬하며, "내가 책임지겠다"고 말하지만, 자신보다 더 가까운 기업무를 자가 있음을 언급합니다. 즉시 성적인 접근이 아닌 법적 절차와 윤리를 강조한 장면입니다.
3. 윤리와 제도의 틈에서 탄생한 서사
루스의 행동은 율법과 사회적 제도의 경계를 뚫고 나오는 주체적 선택이자, 동시에 여전히 남성의 결정에 의존하는 구조 속에 놓여 있습니다.
보아스의 행동은 루스를 즉각 받아들이기보다는 절차적 정당성을 우선시하는 신중함을 보여줍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러브스토리가 아닌, 고대의 법과 생존, 그리고 여성의 전략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구조로 읽혀야 합니다.
📢 스폰서 링크
4. 은밀한 귀가 후 보아스의 선물
14. So she lay at his feet until the morning, but arose before one could recognize another. And he said, "Let it not be known that the woman came to the threshing floor." 15 And he said, "Bring the garmnent you are wearing and hold it out." So she held it, and he measured out six measures of barley and put it on her. Then she went into the city. 16 And when she came to her mother-in-law, she said, "How did you fare, my daughter?" Then she told her all that the man had done for her, 17 saying, "These six measures of barley he gave to me, for he said to me, 'You must not go back empty-handed to your mother-in-law." 18 She replied, "Wait, my daughter, until you learn how the matter turns out, for the man will not rest but will settle the matter today."
루스는 보아스의 발치에서 밤을 지새우고 동이 트기 전에 조용이 일어나 갑니다. 가는 길에 보아스는 루스에게 보리 여섯 에바를 치마에 담아 줍니다. 일종의 보호와 약속의 상징이라고 하는데요. 글쎄요.
📢 스폰서 링크
마무리-생존의 지혜인가 신앙의 절정인가?
루스 3장은 질문을 남깁니다. 밤에 남자의 발치에 눕는 행위는 유혹인가, 아니면 구속자의 제도 안에서 가능한 지혜로운 청혼인가.
신은 이 장면을 통하여 이방 여인을 다윗 왕조의 조상으로 편입시키며, 율법의 경계 너머에서도 신앙과 헌신을 통해 구원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순결’이란 무엇인가, ‘의도된 접근’은 언제 신앙이 되고 언제 유혹이 되는가를 다시 묻게 합니다. 정답은 명확하지 않지만, 질문은 유효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몸으로 살아낸 여성들에 관련한 얘기 여기서 확인하세요.
📢 스폰서 링크
'win.ter book > 성경 자의적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기 위해 아이를 바친 한나 사무엘상 1장 이야기 (1) | 2025.05.04 |
---|---|
전형적인 씨받이 내러티브 룻기 4장 (0) | 2025.05.01 |
하나님이 불로 임재하는 이유 (0) | 2025.04.30 |
룻기에 드러나는 역사적 사실 (1) | 2025.04.29 |
이삭 줍는 루스와 보아스의 만남 루스 2장 (0) | 2025.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