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창고/사유하는 방

빛의 서 조하르에 관하여

by winter-art 2025. 11. 9.

조하르 (Zohar, 히브리어: זהר)는 '광휘', '빛', 또는 '찬란함'을 의미하며, 유대교 신비주의인 카발라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간주된다. 이는 토라 (모세 오경)에 대한 신비주의적 주석서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신과 우주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담고 있다.

 

1. 조하르의 명칭 및 의미

1. 명칭 및 의미

  • 정식 명칭: 세페르 하조하르 (Sefer ha-Zohar, 빛나는 책)이다.
  • 언어: 중세 아람어와 일부 중세 히브리어로 작성되었다. 이는 신비주의적 권위를 부여하기 위해 2세기 팔레스타인에서 사용되던 아람어를 모방한 것이다.

2. 저자와 성립 시기

  • 전통적 주장: 조하르의 본문은 2세기경의 현인인 랍비 시몬 바르 요하이와 그의 제자들의 논의를 기록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 학문적 견해: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조하르가 13세기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카발리스트 모셰 데 레온 (Moses de León)에 의해 편집되고 저술된 것으로 본다. 그는 기존의 단편적인 신비주의 문헌들을 모으고 자신의 사상을 더해 랍비 시몬 바르 요하이의 이름으로 발표했다.

2. 조하르의 핵심 내용 및 중요성

조하르는 토라의 구절들을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넘어 심층적이고 신비적인 차원에서 해석한다.

  • 엔 소프와 세피로트: 무한한 신성엔 소프 (Ein Sof)가 어떻게 10가지 속성 (세피로트)을 통해 유한한 세계로 발현하는지에 대한 카발라의 핵심 교리를 자세히 설명한다.
  • 창조 신화: 우주의 기원, 창조의 과정, 그리고 인간 영혼의 본질에 대한 신비로운 해석을 제공한다.
  • 영혼과 죄: 영혼의 윤회 (길굴, Gilgul), 선과 악의 본질, 그리고 인간의 행동이 우주의 상위 차원에 미치는 영향 등을 다룬다.
  • 셰키나: 신의 현존을 의미하는 셰키나 (Shekhinah)를 여성적이고 수동적인 신성으로 강조하며, 이는 카발라의 독특한 신 개념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 힌두교 우주론에 대한 고찰

 

 

3. 카발라에서의 중요성

조하르는 카발라를 체계화하고 대중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근본 경전: 조하르는 카발라 사상의 최고 권위를 지니며, 이후의 모든 카발라 학파, 특히 루리아 카발라의 발전과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유대교에 미친 영향: 조하르의 출현 이후 카발라 사상은 유대교 공동체의 종교 의식, 기도 방식, 윤리적 사유 등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4. 영적 지도 조하르

『조하르』는 단지 유대 신비주의의 경전이 아니라, 우주와 인간 의식의 근원을 ‘빛’이라는 상징으로 통합한 영적 지도이다. 신의 빛은 우주를 비추지만, 동시에 인간의 내면에서도 반짝인다. 그 빛을 다시 인식하는 것이 곧 깨달음이며, 인간이 신의 언어를 되찾는 순간이다. 『조하르』는 말한다. 모든 어둠은 결국 빛의 가능성 속에서 존재하며, 신의 광휘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 안에서, 여전히 흐르고 있다.

🌟 세계의 기원 문서 해석

반응형

댓글